자유게시판  ( 383 )
생활정보  ( 248 )
댄스 정보  ( 164 )
건강정보  ( 145 )
여행 및 맛집 정보  ( 96 )
음악정보  ( 109 )
뷰티정보  ( 13 )
BLBee영상  ( 0 )
그릿바매거진  ( 43 )
생활정보
HOME > 커뮤니티 > 생활정보 > 상세보기
[뉴스] 법령 정비하고 지원 늘리면 시니어 기술창업이 활성화될까?
BY 혹등고래 2022-04-21 16:43:13
6 686 0

산업연구원의 '시니어 기술창업 실태와 활성화 방안' 보고서

 

만약 창업해야 할 상황이라면 무엇이 필요할까. 무엇보다 사업 아이템이 경쟁력이 있어야 하고 초기 운영자금도 충분해야 한다. 물론 회사를 꾸려갈 인력도 중요하다. 하지만 모든 창업이 완벽한 준비를 하고 출발하는 것은 아니다. 오랜 회사 생활을 뒤로하고 창업을 선택하는 중장년 중 사업 초기 정착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이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지난 18일 ‘산업연구원(KIET)’은 <시니어 기술창업 실태와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인구구조의 고령화, 글로벌 경제환경의 변화, 코로나19 이후 예상되는 기업구조조정” 등에 대응하고 일자리 창출을 위해 베이비붐 세대들의 “시니어 기술창업”이 필요하다는 취지의 보고서다.

 

(그래픽=뉴스포스트 강은지 기자)

 

 

시니어 창업은?


시니어 창업은 ‘은퇴 이후에 사업을 시작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다만 우리나라 창업 정책 측면에서 시니어 창업을 해석하면 ‘청년 창업’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주요 정책은 나이 기준에 따라 지원 대상을 구분하는데 관련 기관이나 지자체별 창업 지원사업에 따른 시니어 창업은 대략 40세 이상에 창업하는 것을 뜻한다. 

그런데 우리나라 창업 정책의 큰 목표 중 하나는 ‘일자리 창출’이다. 관련 통계에 따르면 창업으로 생기는 고용뿐 아니라 창업자 또한 취업한 것으로 분류한다. 다른 한편 취업이 되지 않아 어쩔 수 없이 창업을 선택하기도 한다. 

“처음에는 재취업을 목표로 했는데 여의치 않더라고요. 이미 기술이나 아이템이 세팅된 회사에 제가 필요할 리 없다는 걸 깨달았죠. 재취업이 안 되니 창업할 수밖에 없었고요.”

반도체 관련 대기업에서 부장급으로 재직하다가 2년 전에 명예퇴직한 오모씨(54세)의 말이다. 그는 작년 가을에 과거 업무와 연관 있는 아이템으로 창업했다고.

이번에 나온 산업연구원의 보고서는 “시니어 기술창업은 청년창업에 비해 축적의 기술, 사회활동 및 기업근무경력, 사회적 네트워크 등을 활용”해 “창업 성공확률이 높고 일자리 창출에서도 높은 성과”를 보인다고 설명한다. 

오씨 또한 20년 넘게 해당 분야에서 쌓은 기술과 네트워크를 활용하면 활로를 뚫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
 

 

시니어 창업 실태는?



산업연구원은 <시니어 기술창업 실태와 활성화 방안>을 작성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했다. 이에 따르면 시니어 기술창업자들은 “퇴직 이후 자기사업 영위”하고 싶어서, 그리고 “직장 등에서 취득한 기술, 지식을 사장시키기 아쉬워”서 창업을 선택했다고 답했다.

창업자금 조달원은 주로 ‘퇴직금’ 등 ‘자기 자금’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정부 지원 창업자금’, ‘금융기관 융자금’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벤처캐피털’ 등 벤처자금은 극소수만 이용했다.

“우선 퇴직금을 쪼개 사업을 시작했죠. 물론 턱없이 부족해서 정부 자금이나 은행 대출을 알아보고 있어요. 그런데 정부 창업자금은 신청부터 까다로운 것 같아요. 액셀러레이터나 창투는 제 회사와 관련 없는 것 같아 컨택도 안했고요.”

위에서 언급한 오모씨의 말이다. 산업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오씨처럼 창업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시니어 창업자들이 많다. 그리고 판로 확보와 안정적 수익에 대한 불안감도 크다. 그중에서도 정부 창업지원제도나 전문 투자기관에 접근이 어렵다는 창업자들의 답변이 많았다고. 

“앤젤 투자자나 창투 회사는 주로 혁신 기술이나 서비스를 찾습니다.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은 실제 소비자와 밀접한 기술이나 제품을 선호하고요. 그러니 모든 창업자에게 문이 열려 있는 것은 아닙니다.”

창업 컨설턴트 박한석(56세)씨의 말이다. 그는 정부의 창업지원 프로그램이 나름 촘촘하지만 신청과 진행에 불편함을 느끼는 창업자가 많다고 했다. 특히 운영기관의 무리한 평가 기준을 지적했다. 매출과 고용 관점에서 평가하는 지금 기준을 수정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시니어 창업 활성화 방안은?

정부의 시니어 창업 지원사업은 지난 2010년부터 시작됐다. 베이비붐 세대가 본격적으로 은퇴하기 시작한 시기와 맞물린다. 그때부터 정부는 시니어 대상 창업교육, 시니어 전용 창업센터, 시니어 퇴직 인력과 청년 매칭사업 등의 사업을 지원했다. 

정책을 펼친 지 10여 년이 지난 지금, 정부는 시니어 기술창업을 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코로나19 이후 기업구조조정 등에 대응할 방안 중 하나로 생각하고 있다. 따라서 기술과 경험,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니어 기술창업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산업연구원의 <시니어 기술창업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따르면 정부는 관련 법률을 정비하고 시니어 창업지원 서비스의 이행력을 강화하는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한다. 특히,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창업지원법>에 ‘시니어 기술창업자’ 항목을 추가하는 방안을 연구한다고.

보고서는 정부뿐 아니라 민간에서의 노력도 필요하고, 기업 또한 창업을 희망하는 “시니어를 대상으로 창업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가장 중요한 자금 조달을 위해서는 “시니어 대상 정책자금 지원 규모를 확대”하고, “민간의 벤처투자 활성화 방안”도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나아가 “2010년대에 나온 여러 청년 창업 정책”과 같은 “적극적 대책”도 필요하고, 명맥만 유지하는 기존 프로그램은 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창업을 준비하면서 정부가 운영하는 여러 보육센터를 방문했었는데 우리 같은 중장년에겐 기회가 나지 않더라고요. 그래서 중장년 기술창업센터에도 가봤는데 내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었고요. 조금은 형식적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오씨의 말이다. 산업연구원 보고서 또한 중장년기술창업센터가 창업보육센터에 비해 열악하다고 지적한다. 예산이 부족해 명맥만 유지한다고. 

정부 기관 홈페이지에서 ‘활성화’라는 키워드로 검색하면 무수한 보고서가 나온다. 그런데 각 보고서의 결론 즈음, 즉 활성화 방안을 보면 거의 비슷하다. 주제를 막론하고 관련 생태계나 법령 정비, 혹은 지원 예산 확대 편성을 강조한다. 해외 사례 비교도 큰 비중을 차지한다.

물론 법률과 예산 등 정부 지원도 중요하고 해외 사례에 따른 제도 정비도 중요하다. 하지만 정책 수혜 대상자들은 주변 환경 개선을 우선으로 꼽는다. 시니어 세대의 창업이 산업과 경제 선순환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시니어 창업 생태계 개선이 필요하다고. 산업연구원의 <시니어 기술창업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서도 강조하는 부분이다. 

댓글 0 보기
목록보기
전체게시글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248
혹등고래
2022-04-21
247
혹등고래
2022-04-21
246
혹등고래
2022-04-20
245
혹등고래
2022-04-20
244
혹등고래
2022-04-20
243
혹등고래
2022-04-20
242
혹등고래
2022-04-20
241
혹등고래
2022-04-20
240
혹등고래
2022-04-20
239
혹등고래
2022-04-19
<<
이전
1